티스토리 뷰
어느 날, 아이를 목욕시키다가 아이 엉덩이에 움푹 파인 것을 우연히 발견한 부모님들이 계실거에요. 아이에게 생기는 사소한 것들도 걱정거리가 되곤 하죠. 오늘은 신생아 딤플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1. 신생아 딤플이란?
우리말로 보조개라는 뜻인 딤플은 아이 엉덩이의 꼬리뼈 부위에 'ㅅ'자나 'Y'자 모양의 주름이 생긴 것을 말해요. 엄마 뱃속에서 태아가 형성될 때 생긴 흔적이에요. 일반적인 딤플은 특별한 치료가 필요 없지만 1~5%의 비율로 발목 마비, 신경성 방광, 보행 장애 등 척수 기형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2. 딤플 구분 방법
보통은 의사가 먼저 발견하고 알려주는 경우가 많지만, 육안으로 확인이 안될 때도 있어요. 딤플에 대한 별다른 소견이 없었더라도 소아과 검전 시에 물어 확인하는게 좋아요. 일반적으로 구멍만 살짝 보이는 정도의 딤플은 정상일 확률이 높으니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돼요. 하지만 아래의 체크사항에 하나라도 해당되는 점이 있다면 병원을 찾아 조기검진을 받으시길 권유드려요.
□ 딤플 주위 피부에 반점이 있다.
□ 엉덩이 골 윗부분에 집중적으로 털이 나 있다.
□ 딤플 주위에 붉은색을 띤 혈관종이 관찰된다.
□ 꼬리뼈 부위에 눌렸거나 움푹 파인 흔적이 있다.
□ 딤플 주위에서 말랑말랑하고 둥근 고무공 같은게 만져진다.
3. 딤플 검사 방법
초음파나 MRI와 같은 신경 기형 검사로 기형 여부를 확인해요. 생후 5-6개월에 초음파 검사를 하고, 이상이 발견되면 MRI 검사를 해요. 보통 딤플로 인한 문제는 생후 6-12개월 사이, 적절한 치료를 통해 대부분의 장애를 예방할 수 있으므로 지나치게 걱정할 필요는 없어요. 딤플로 인한 기형은 척추 신경의 가장 끝에 관여하는 배변 기능에 대한 장애와 연관되어 있어요. 소변을 다 본 다음 초음파로 방광을 촬영해 방광에 소변이 없으면 정상이며, 소변이 남아 있다면 기형을 의심해요. 드물지만 증상이 심한 경우 다리 신경에 문제가 생겨 마비가 올 수도 있어요. 의사의 판단에 따라 척수나 신경을 누르는 부위를 제거해 더 이상 신경이 손상되지 않도록 수술을 하면 90% 이상 완치되기 때문에 제때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해요.
- Total
- Today
- Yesterday
- 2-3개월
- 0-20개월
- 37-84개월
- 4세
- 13-24개월
- 엄마의고민
- 25-36개월
- 이유식
- 4-6개월
- 13-60개월
- 7-9개월
- 7-12개월
- 0-12개월
- 3-4세
- 6-15개월
- 25-60개월
- 13-15개월
- 6-48개월
- 0-6개월
- 0개월~7세
- 0-84개월
- 놀이
- 4-5세
- 5세
- 10-12개월
- 0-18개월
- 0-1개월
- 6-12개월
- 6-7세
- 13-48개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