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6개월 전후로 아이가 밤에 자주 깨서 울고, 짜증이 많아졌다면 이앓이를 의심해볼 수 있어요. 아이에 따라 이앓이의 정도도 달라, 큰 어려움 없이 이 시기를 넘어가는 아이가 있는 반면 너무나 힘들어하는 아이도 있어요. 이앓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게요.
1. 이앓이의 증상
(1) 침 흘리는 양이 많아져요.
(2) 무엇이든 입으로 가져가 씹어요.
(3) 잇몸을 스스로 문지르는 것처럼 입을 자꾸 움직여요.
(4) 체온이 조금 올라가요.
(5) 구강발진이 일어나요.
(6) 평소보다 이유 없는 짜증을 더 많이 내고 힘들어해요.
(7) 잘 먹던 분유나 이유식을 거부하는 등 식욕이 감소해요.
2. 이앓이 대처 방법
깨끗한 손가락 또는 가제 손수건에 물을 묻혀 잇몸을 살살 문질러주거나, 차가운 음식 또는 음료를 주면 통증을 줄여줄 수 있어요. 이때 주의할 점은 가제 손수건을 냉동실에 넣는 등 지나치게 차갑게 하여 지나친 자극을 주지 않아야 해요. 아이가 아파하는 모습을 보기 힘드시겠지만, 보통은 집에서 케어가 가능해요. 이앓이가 너무너무 심해서 먹는 것을 거부할 경우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좋아요. 이가 잇몸을 뚫고 나오면 통증은 완화돼요.
3. 이앓이 이후
이앓이 후에는 보통 가장 먼저 아랫쪽 앞니 2개, 윗쪽 앞니 2개가 나와요. 아이마다 순서는 다를 수 있어요. 아이가 12개월이 될 때까지 치아가 나올 기미를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치과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좋아요. 어금니는 다른 치아에 비해 크고 면적이 넓기 때문에 이앓이가 더 심해질 수 있어요. 어금니가 나올 때 잇몸은 다른 때에 비해 더 불룩해지며, 일부는 푸르스름한 낭종이 생길 수도 있어요. 하지만 대부분의 낭종은 스스로 터져서 없어지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돼요.
주기적인 치과 검진도 아주 중요해요 예상하지 못한 이앓이로 아이도, 부모님도 지치고 힘들 수 있어요. 하지만 이 시기가 지나가고 나면 이 세상 무엇보다 귀엽고 소중한 우리 아이의 이가 봉긋 올라와요!
- Total
- Today
- Yesterday
- 13-48개월
- 2-3개월
- 25-36개월
- 0개월~7세
- 4-5세
- 13-24개월
- 5세
- 6-15개월
- 0-84개월
- 이유식
- 10-12개월
- 0-1개월
- 37-84개월
- 엄마의고민
- 놀이
- 0-12개월
- 0-18개월
- 6-7세
- 25-60개월
- 0-6개월
- 7-12개월
- 13-15개월
- 6-12개월
- 0-20개월
- 6-48개월
- 13-60개월
- 7-9개월
- 4-6개월
- 4세
- 3-4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