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날씨가 더워지는 여름이 되면 아기 땀띠에 관해 궁금해하시는 분이 많이 계실거에요. 여름철 아기 땀띠 관리법을 잘 숙지하고 아이와 함께 무더위 안전하게 잘 보내시길 바래요.

 


1. 땀띠란?

 '땀띠'란 땀관이나 땀관 구멍의 일부가 막혀서 땀이 원활이 표피로 배출되지 못하고 축적되어 작은 발진과 물집이 발생하는 질환이에요. 체온 조절을 위해 발생하는 땀은 땀샘에서 만들어져 땀관을 통하여 피부 표면으로 분비되는데, 이 때 배출되는 통로인 땀관이나 땀관 구멍이 막히면 땀샘에 염증이 발생해요.

 

 

2. 땀띠의 원인

 땀관이나 땀관 구멍이 막히는 원인으로는 습열, 자외선, 반창고 등에 의한 자극이나 비누의 과다사용, 세균 감염 등의 외적인 요인과 많은 양의 땀, 피지 생성 감소 등의 내적인 요인이 있어요. 아기들은 어른에 비해 땀샘의 밀도가 높고 표면적당 발한량이 2배 이상이기 때문에 땀띠가 잘 생겨요.

 

 

3. 땀띠의 증상

 땀띠의 증상으로는 피부에 좁쌀처럼 작은 물방울 모양의 투명한 물집이 생기는 것이 있어요. 가려울 수 있으며 따끔거리는 경우도 있고 주로 얼굴, 목, 가슴, 겨드랑이에 발생해요.

 

 

4. 땀띠 예방 방법

 땀띠가 나지 않도록 통풍이 잘 되는 시원한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해요. 여기서 시원한 환경이란 실내온도 22도에서 25도 정도, 습도 60%에요. 땀을 흘린 즉시 씻어주는 것도 땀띠를 예방하는 한 방법이고, 아기의 경우 땀띠가 나기 쉬운 부위에 파우더를 살짝 발라주는데, 많이 바르면 오히려 땀관 구멍을 막아 역효과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해요. 땀이 너무 많이 나는 경우 접히는 부위에 파우더를 바르게 되면 세균 증식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부위를 잘 고려하여 바르고 적당히 젖은 수건으로 닦아주는 것이 좋아요. 땀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땀이 날 때 자주 닦아주고, 옷은 되도록 헐렁하게 입히는게 좋으며 옷을 완전히 벗기면 흘린 땀이 피부 속으로 다시 들어갈 수 있어요. 피부 자극이 적고, 흡수력이 강한 순면 소재의 옷을 자주 갈아입히는 것이 가장 좋아요!

 

 

5. 땀띠 치료 방법

 일반적인 땀띠는 별다른 치료가 필요 없지만 아이가 손으로 긁어 2차 감염이 생겼다면 치료가 필요해요.치료가 필요한 상황인데도 가볍게 생각해 민간요법이나 연고 등으로 해결하려고 하면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니 물집이 잡히거나 빨갛게 부어올랐다면 피부과를 찾아 진료를 받는 것이 좋아요.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