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여름마다 어린이집에서 집단으로 많이 걸린다는 수족구병 들어보셨나요? 수족구병이 뭔지, 증상은 어떤게 있는지, 치료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려드릴게요.

 


1. 수족구병이란?

 수족구병은 주로 6개월에서 4세 사이의 영유아들이 잘 걸리는 병으로, 이름과 같이 손과 발 입 안에 수포성 발진이 특징적인 바이러스성 질환이에요. 침, 가래, 콧물과 같은 호흡기 분비물이나 수포 안의 진물, 대변 등의 접촉 등으로 전염되고 보통 4~6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쳐 혀, 잇몸, 뺨 안의 안쪽 점막과 손, 발 그리고 엉덩이나 무릎까지 빨간 수포성 발진이 생겨요.

 

 

2. 수족구병의 증상

 초기 2~3일간은 증상이 심해지면서 입의 물집이 터져 잘 먹지도 못하기도 하고, 발 쪽의 물집이 심해지면 걷는 것을 힘들어하기도 해요. 감기와 같이 열이 나며 설사, 구토 등의 증상을 동반하기도 해요. 대개 3~4일 정도가 지나면 증상이 호전되어 1주일 안에 회복돼요. 아주 드물게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탈수를 유발하거나 구내염이 올 수 있으니, 이때는 병원에서 알맞은 진료를 받는 것이 필요해요.

 

 

3. 수족구병의 예방 방법

 수족구는 전염성이 강해서 주로 접촉에 의해 전염이 돼요. 바이러스가 오랜 기간 생존할 수 있기 때문에 장난감이나 손잡이 등을 통해서도 전염이 가능해요. 자주 환기를 시켜 공기에 의한 전염 가능성을 낮추는 것도 좋고, 외출 후, 배변 후, 식사 전후, 기저귀 교처체 전후 등 틈틈이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손을 씻는 것이 중요해요. 어린이집에서는 공동으로 사용하는 물품들이 많기 때문에, 장난감, 놀이기구 등을 자주 소독해주는 것도 좋아요.

 

 

4. 수족구병의 치료 방법

 (1) 물을 많이 먹이고 부드러운 죽이나 차가운 음식이 좋아요.

수족구에 걸린 아이는 입안의 통증 때문에 먹는 것을 거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시기에는 부드러운 죽과 같은 음식을 추천해요. 젖병 사용 시 젖꼭지가 입안 아픈 곳에 닿거나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분유나 물은 컵으로 주는 것이 좋아요. 또한 차가운 음식을 먹이는 것도 통증을 줄이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어요.

 

 (2) 양치는 간단하게 하거나 잠시 보류해 주세요.

양치는 입속 병변을 자극할 수 있으니 간단하게 하거나 잠시 보류해도 좋아요. 멸균된 구강티슈를 차갑게 해서 입안을 닦아주는 냉찜질도 좋아요.

 

 (3) 열성경련을 주의해 주세요.

열이 많이 나는 경우 해열제를 사용하시고 그래도 열이 떨어지지 않고 심하게 열이 나면 옷을 벗기고 30도 정도의 미지근한 물로 닦아주어야 해요. 해열제를 사용하면 열을 떨어뜨릴 수가 있고 해열제의 진통 효과로 입안이 아픈 것을 줄여줄 수 있어요.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